맨위로가기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는 1999년 6월 30일 새벽 경기도 화성군(현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에 위치한 씨랜드 청소년 수련원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이다. 이 화재로 유치원생 19명과 인솔교사 및 강사 4명 등 총 23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을 입었다. 모기향 불티가 원인으로 추정되며, 건물 구조의 문제점, 부실한 안전 관리, 좁은 진입로 등이 피해를 키웠다. 이 사건은 어린이 안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였으며,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시의 역사 - 남양군
    남양군은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의 요충지인 당항성을 포함한 경기도 지역으로, 고려시대 쌍부현을 거쳐 조선시대 남양도호부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1914년 수원군과 부천군에 편입되며 소멸된, 역사적 사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이다.
  • 화성시의 역사 - 수원군
    수원군은 현재의 화성시 일대에 있었던 옛 행정 구역으로, 삼국 시대에는 매홀군, 신라 시대에는 수성군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 수원도호부가 설치되어 도시가 발전했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며 쇠퇴했다가 1949년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 1999년 6월 - 1999년 코파 아메리카
    1999년 코파 아메리카는 파라과이에서 개최되었으며, 브라질이 우루과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리바우두와 호나우두가 득점왕을 기록했다.
  • 1999년 6월 -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은 FIFA가 주최하여 미국에서 개최된 세 번째 대회로, 16개국이 참가하여 여자 축구 역사에 획기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특히 미국과 중국의 결승전은 여자 스포츠 역사상 최다 관중을 동원했다.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개요
날짜1999년 6월 30일
시간0시 30분 (한국 표준시)
위치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당시 화성군)
유형화재
원인모기향으로 인한 발화 (공식 발표), 전기 누전 (추정)
최초 보고오산소방서
참여 기관화성시청, 오산소방서, 수련원장 박재천 등
결과건물 전소 및 붕괴
인명 피해
사망자23명
부상자6명
재산 피해약 7200만원
수사 및 법적 조치
수사 결과공무원 및 건물주 체포

2. 사고 개요

1999년 6월 30일 새벽 경기도 화성군(현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시설인 놀이동산 씨랜드 청소년수련원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취침 중이던 유치원생 19명과 인솔교사 및 강사 4명 등 23명이 숨지고 6명이 부상당하는 참사가 발생하였다. 화재사고 당시 씨랜드에는 서울 소망유치원생 42명, 안양 예그린유치원생 65명, 서울 공릉미술학원생 132명, 부천 열린유치원생 99명, 화성 마도초등학교 학생 42명 등 497명의 어린이와 인솔교사 47명 등 모두 544명이 있었다.[16]

3. 사고 일지

화재는 20분 만에 건물 전체로 번졌다. 신고 접수 후 소방차 20여 대와 소방관 70여 명, 경찰 250여 명이 출동했으나, 이미 골든타임을 놓친 뒤였다. 소방서는 현장으로부터 70km 떨어져 있었고, 유독가스와 건물 붕괴 위험 등으로 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최초 발화 지점은 수련원 3층 C동 301호로 추정되며, 모기향이 옷에 옮겨붙어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

화재는 1999년 6월 30일 오전 12시 30분경에 시작되었지만, 인근 소사(현재 부천시)의 소방관들은 오전 1시 30분경에야 화재 경보를 받았다. 오전 2시경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건물이 붕괴되기 시작했다. 50대의 소방차에서 출동한 소방대원들은 3시간 넘게 화재를 진압했다. 소방 당국은 수련원 직원의 응급 상황 대처 훈련 부족을 화재 신고 지연의 이유로 꼽았다.[4] 다른 사람들은 화재로 인해 수련원의 전화선이 손상된 사실에 그 원인을 돌렸다.[5]

당시 수련원에 있던 부천의 한 유치원 원장 강권수는 "복도는 너무 좁고 어두웠으며 연기로 가득 찼다. 이로 인해 큰 혼란이 발생했다. 불길에서 탈출하려는 교사와 학생들이 서로 엉키고 넘어졌다. 어떤 사람은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질렀고, 다른 사람은 고통 속에 울부짖었다. 마치 지옥과 같았다."라고 당시 상황을 묘사했다.[6] 수련원 강사 김영호(24세)는 화재를 알리기 위해 방문마다 뛰어다녔지만 301호실 문을 열 수 없었다고 진술했다.[7] 화상으로 입원한 강유종(6세)은 "뜨거운 바닥 때문에 한밤중에 깨어났다. 구석에서 가구가 불타고 있었고 방은 연기로 가득했다. 선생님이 나와 다른 아이들을 방에서 꺼내주었지만 다른 아이들 4명은 불길이 너무 거세서 나갈 수 없었다. 밖으로 나오자마자 2층과 3층에서 불타는 창문이 땅으로 떨어졌다."라고 증언했다.[1]

3. 1. 화재 원인 및 문제점

씨랜드 수련원은 콘크리트 1층 건물 위에 52개의 컨테이너를 얹어 2~3층 객실을 만든 임시건물로, 청소년 수련원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했다. 얇은 철판에 목재와 샌드위치 패널로 외벽 및 지붕을 마감하는 등 화재에 취약한 구조였다.[2] 건물 내부에는 화재경보기가 있었으나 불량품이었고, 소화기 역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2] 화물 컨테이너는 불에 타면 유독 가스를 방출하는 인화성이 매우 높은 물질인 스티로폼으로 만든 천장을 가지고 있었으며, 화재 스프링클러 시스템도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2] 기숙사에는 두 개의 출구가 있었지만, 좁은 계단이어서 대피를 방해했다.[1]

화재 발생 1년 전, 화성시 의회 검사관들은 두 차례의 안전 점검을 실시했고, 두 번 모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1] 또한,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할 정도로 좁은 진입로를 승인했다.[1] 화재 원인은 모기 퇴치 코일의 점화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2][3]

4. 법적 처벌 및 수사

수원지방검찰청과 화성경찰서는 씨랜드 대표와 화성군 관계자 등을 소환하여 수련원 준공과 사업허가 경위 등에 대한 수사를 하였다. 검찰은 화성군으로부터 준공 및 사업허가 관련 서류 일체를 넘겨받아 이 과정에서 불법이 있었는지를 집중 수사하여, 이들 사이에 인허가를 둘러싼 시시비비를 가려내었다.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소유주 박재천과 화성시 시의원 6명은 과실치사 및 건축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뇌물 수수 혐의도 추가되었다.[11] 박재천은 수련원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허가를 받기 위해 시의원들에게 뇌물을 제공한 혐의도 받았다. 그는 또한 건설 면허를 빌리기 위해 건설 설계자에게 1400만(약 14000USD)을 지불한 혐의도 받았다. 건축가 및 시공자 4명도 체포되었다.[12]

서울 소재 소망유치원 원장 전경자(35세)[7]는 남편, 다른 교사와 함께 어린이 사망에 대한 과실치사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들은 301호에서 아이들을 돌보지 않고 술을 마시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2] 다만, 다른 방에 있었는지 건물 밖에 있었는지에 대한 보고는 서로 다르다.

5. 여파

이 사건으로 자녀를 잃은 유족들은 큰 슬픔과 분노를 겪었다. 일부 유족은 어린이 안전 운동가로 활동하거나, 한국을 떠나 이민을 가기도 했다. 당시 화성군 공무원이었던 이장덕은 비망록을 통해 유착 관계를 고발하고 사고 다음 해 명예퇴직했다.[17] 2003년 7월 3일, 대한민국 권양숙 여사는 희생자 유족들을 위한 위로 행사를 열었다.[13]

5. 1. 어린이 안전 운동

한국어린이안전재단 고석 대표는 이 사고로 두 쌍둥이 딸을 잃은 후 생업을 포기하고 재단을 설립하여 어린이 안전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17]

5. 2. 이민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이자 전 대한민국 국가대표 필드하키 선수 김순덕은 이 사고로 장남(김도현)을 잃었다. 김순덕은 씨랜드 참사 이후 4개월 만에 일어난 인천 상가 화재 참사를 보니 미련이 남지 않는다며 모든 훈장과 메달을 반납하고 "한국에선 살고 싶지 않다."고 밝힌 뒤 남편 김성하, 작은아들 김태현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민을 갔다.[17]

5. 3. 불법 시설물 운영

2011년 참사 현장 옆에 불법 시설물 등으로 꾸며진 야영장이 조성되어 영업 중인 것이 드러났다.[18] 이 불법 시설물을 설치한 사람은 씨랜드 화재 사고 당시 소유주이자 시설 운영자와 동일인이었다.[18]

6. 문화적 영향

H.O.T. 4집의 타이틀곡 <I yah!>는 이 사고를 모티브로 하였다.[19] 자전거 탄 풍경 1집의 수록곡 <담쟁이 넝쿨별>는 이 사고를 추모하는 노래이다.[20]

7. 사회적 영향 및 평가

씨랜드 화재 참사는 안전 불감증과 부실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고, 한국 사회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9] 이 사건은 어린이 안전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당시 김대중 정부와 새정치국민회의는 이 사건을 계기로 어린이 안전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이는 이후 어린이 안전 정책 강화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미흡한 안전 관리 시스템과 안전 불감증 문제는 한국 사회의 과제로 남아있다.

2003년 7월 3일, 권양숙 여사는 희생자 유족들을 위한 위로 행사를 열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Youth centre fire in South Korea claims 23 lives https://web.archive.[...]
[2] 뉴스 7 Arrested in S. Korea Camp Fire http://www.firehouse[...] Associated Press 1999-07-02
[3] 웹사이트 Korean Tragedy - Conflagration in a Youth Camp https://web.archive.[...]
[4] 뉴스 Fire Kills 21 at South Korean Camp http://www.firehouse[...] Associated Press 1999-07-01
[5] 뉴스 Teachers held in camp fire inquiry http://news.bbc.co.u[...] BBC 1999-07-01
[6] 뉴스 Korea fire kills 23 nursery children http://findarticles.[...] The Independent 1999-07-01
[7] 뉴스 Arrest warrants sought for seven in South Korean dormitory fire https://web.archive.[...] Associated Press 1999-07-02
[8] 간행물 Youth Training Center Fire Incident http://www.kfpa.or.k[...]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08-12-07
[9] 뉴스 Tearful parents bid farewell to children killed in South Korean fire https://web.archive.[...] Associated Press 1999-08-07
[10] 뉴스 23 children killed in fire at South Korean camp https://web.archive.[...] CNN 1999-06-30
[11] 웹사이트 6 More Detained in S.Korea Camp Fire http://www.firehouse[...]
[12] 뉴스 Arrests in Fatal Korea Fire https://query.nytime[...]
[13] 웹사이트 http://english.presi[...]
[14] 뉴스 "`씨랜드 화재 참사` 옆 또 불법 시설(シーランド惨事現場の隣にまた不法施設)" http://news.mk.co.kr[...]
[15] 뉴스 불길 삽시간에 번져 희생자 늘어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9-07-01
[16] 뉴스 23명 화염에 잃고도 깨닫지 못했는가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3-07-27
[17] 간행물 '용기 있는 공무원' 이장덕 계장 육성고백 http://www.donga.com[...] 여성동아 2000-04
[18] 뉴스 "'씨랜드 참사' 옆 또 불법 휴양시설(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1-08-17
[19] 블로그 콘서트 동영상 http://blog.naver.co[...]
[20] 웹인용 가사 http://music.daum.ne[...] 2014-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